1. 채권 수익률 곡선
● 보통 단기물보다 위험이 더 큰 장기물 금리가 더 높음
● 수익률 곡선은 채권시장이 바라보는 미래 경제와 통화 정책에 대해 알수 있음
● 장기금리가 단기금리보다 낮다는 것은 채권시장이 향후 경제와 성장을 부정적으로 예측하고 있다는 것
● 수익률 곡선이 역전된 상황에서 FED가 금리 인상을 중단한다는 것은 경기 침체가 온다는 이야기
● 즉, 경기침체를 예상해서 장기금리가 낮아져있고 여기서 금리인상 중단은 경기침체가 온 다음에 더 심한 경기침체를
막기위해서 중단하는것이기 때문에 증시에도 좋지 않음
2. 고용데이터. 고용지표
● 경제 상황보다 훨씬 더 뒤처지는 후행적인 경향
why? 긴축으로 인해 경제가 약화되는 초기엔 기업들은 해고에 비용이 많이 들고 업무에 지장을 주기에 가능한
오랫동안 인력을 유지하려하기(Labor Hoardng) 때문에 노동시장은 성장이 둔화하기 시작해도 나중에
반응하는 경우가 발생.
반대로 경기 침체에서 벗어날때도 비슷. 침체에서 회복되기 시작할때 기업들은 상황은 개선되고 있지만,
경제에 대한 신뢰가 낮아 신규 채용을 주저하기 때문.
● 좋은 주식투자 전략의 하나는 노동 시장이 가장 강할때 주식을 팔고 노동시장이 가장 약할때 주식을 사는것
(상기 Chart 예시)
● 임금이 대표적인 차트. 임금상승률이 높으면 인플레이션을 부추기고 FED가 추가 긴축을 할 것이란 우려가 있지만
과거 역사를 보면 임금 상승률이 고점일 때 FED는 금리인하를 시작하였음. 즉, 임금 상승이 절정에 달했을 때
경제의 다른 부분은 이미 충분히 둔화 조짐을 보였고 FED는 완화를 시작하였음.
<출처 김현석의 월스트리트 나우>
'미국 주식매매에 도움 주는 경제 지표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PCE[개인소비지출 물가 지수]와 CPI[소비자 물가 지수] 예상할수 있는 사이트 (0) | 2023.02.22 |
---|---|
EPS와 주가와의 관계 (0) | 2023.01.18 |
JOLTS(Job Openings and Labor Turnover Survey) 구인 & 이직보고서 (0) | 2022.12.26 |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지수 [Michigan Consumer Sentiment Index (MCSI)] (0) | 2022.12.24 |
CB LEI[Conference Board Leading Economy Index]경기선행지수 (0) | 2022.1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