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상승률3 미국 경제 증시 전문가 전망[ 01-JUN-23 ~ 30-JUN-23 ] ▶01-JUN-23 . 패크릭 하커(총재 필라델피아 FED) - 이젠 금리인상 중단 시점에 가까워졌다...그동안의 통화 정책이 효과 내도록 해야 . 마이클 랜즈버그(CIO 랜즈버그베넷 PWM) - 최근 주가가 강세 보였으나 추종 매수 신중해야...일부 빅테크 빼놓고 거의 모든 종목 주가는 정체 - 주도주가 적은 건 시장이 건강하지 않다는 증거...11개 업종 중 3개 업종만 상승 기록중(IT, 컴퓨터서비스, 임의 소비재) - 약세장 아직 안 끝났으며 약세장 랠리▶02-JUN-23 . 모하메드 엘 에리언(고문 알리안츠) - FED 또 섣부른 금리 동결 메세지 내놨다 - 고용지표 보면 미국 경제 여전히 견조...하지만 FED가 침체에 빠뜨릴 가능성 - FED는.. 2023. 6. 17. 미국 주식시장 시황 [2023.06.01 목요일] 1. 주요 지수 다우존스 나스닥 VIX 지수 33061 13100 15.78 등락률 0.47%▲ 1.28%▲ 12.04%▼ 2. 증시 영향 요소 ▶ 긍정적 요소 a.부채합의안 하원 통과...상원으로 b. 확 상승한 6월 금리동결 확률 ▶ 부정적 요소 a. 견조한 고용...5월 ADP 27.8만명 b. 2일 나올 일자리수에 대한 경계심 3. 오늘의 경기 지표 ▶ 5월 ADP 민간고용 보고서 a. 27.8만개...예상 18만개 b. 대부분 중소기업 등에서 상승 ▶ 신규실업수당 청구건 수 a. 23.2만명...예상 23만 건 b. 고용 호조에도 임금 상승률 둔화 ▶ 5월 제조업 경기 a. S&P 48.4...4월 50.2 b. ISM 46.9...4월 47.1 c. 2분기 성장 전망...GDP 2.0% 증가... 2023. 6. 2. 2023.02.09 목요일 1. 주요 지수 다우 존스 나스닥 지수 33699 11789 등락률 0.78% Down 1.02% Down 2. 증시 영향 요소 ▶ 긍정적 요소 a. 디즈니, 펩시코 실적 양호...예상 상회 b.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19.6만...예상 19만 ▶ 부정적 요소 a. 심화된 국채 수익률 역전 곡선...침체 우려 야기 b. 14일 발표예정 1월 CPI 반등 우려 3. 오늘의 경기 지표 ▶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상승 a. 지난 주 19.6만...예상 19만...전주 18.3만 b. 전년 대비 꾸준히 상승중인 실업수당 청구건 수 ▶ 2022년 7월 이후 둔화 중인 임금 상승률(애틀란타 FED) 4. 내일 주요 일정 a. FED 위원 연설: 월러(강매파)...(한국시간 22일 02:30), 하커(중도).... 2023. 2.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