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매매에 도움 주는 경제 지표들

PCE[개인소비지출 물가 지수]와 CPI[소비자 물가 지수] 예상할수 있는 사이트

by 요망진 독세기 2023. 2. 22.

◈ FED 기준금리 결정시 고려하는 물가지수(중요도순)

    ★★★  PCE(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개인소비자 지출 물가지수

                 Headline PCE < Core PCE

    ★★     CPI(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 물가지수

    ★         PPI(Producer Price Index) 생산자 물가지수   

◈ PCE[개인소비 지출 물가 지수]와 CPI[소비자 물가 지수] 예상할수 있는 사이트

    ▷https://www.clevelandfed.org/indicators-and-data/inflation-nowcasting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 사이트 접속시 화면 및 보는 법

     1. 빈칸이미 발표되어서 빈칸 처리되었음

         ex. CPI는 당월에 당월 수치를 발표하기때문에 1월 수치가 발표되어 빈칸으로 보임

               PCE는 당월에 전월 수치를 발표하므로 다가오는 2월 24일에는 January 2023 항목 발표 예정

     2. 1월 CPI는 6.4% YoY, 12월 PCE는 5.0% YoY였으므로 현재 조금은 하락하고있는걸로 추정할수 있음

PCE(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개인소비자 지출 물가지수

     1. 개인들이 상품 구매, 서비스 이용시 지출한 비용을 합친 것

     2. CPI에 비해 서비스업 비중이 더 큼.

     3. 지수 상승: 미국인의 소비 증가로 인한 물가 상승

     4. 지수 하락: 미국인의 소비 감소로 인한 물가 하락

     5. 물가의 방향을 예측하는데 이용

     7. 전달 PCE 지수는 보통 이번 달말에 발표                          

CPI(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 물가지수

     1.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 및 서비스의 종합적인 가격 수준을 지수로 만든 것

     2. 지수 상승 → 물가 안정을 위한 금리 인상 예상

     3. 전월대비, 전년대비 원본지표 사용 (투자 참고 사항으로 주로 전년대비 원본지표 사용)

     4. 전월대비는 계절성(수요증가로 가격상승) 등 변동성이 너무 커서 참고 지표로 전년대비 지표 사용

     5. 주요 구성 항목

         . 주거 서비스(Shelter): 32.7%

           ※ 주택가격, 렌트비 상승률에 1년 후행함

           (2022년 4월 고점 후 하락중→2023년 4월부터 주거 서비스비 하락 예상)

         . 식품(Food): 13.7%

         . 에너지(Energy): 8%

         . 자동차(Vehicles): 7.7%

         . 의료 서비스(Medical Care Services): 6.8%     

         . 운송 서비스(Transportation Services): 5.9%                                  

◈  PPI(Producer Price Index) 생산자 물가지수   

     1. 생산자가 출시하는 상품, 서비스의 종합적인 가격 수준을 지수로 만든 것

     2. 상품과 서비스에 드는 비용이 오르면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비용도 오를 가능성이 높음

     3. 생산자 물가 지수는 소비자 인플레이션의 선행지표

     4. FOMC는 PPI가 전년 대비 2%상승이 적절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그 전까지는 금리를 인상하거나

        유지하는 관점으로 접근할 가능성이 높음

         ※ Core PPI: 식품 및 에너지(변동성이 큼)를 제외하고 생산자가 판매하는 상품/서비스의 가격 변화 측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