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 주가와 이동평균의 차이를 측정하여 추세를 판단하는 기술적 지표
▷ 최근 주가가 가격의 이동평균선과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표시해 추세의 강도와 방향을 알려주는 지표.
2. 활용
▷ CCI값이 높으면 현재 주가가 가격의 이평선에 배해 높다는 것을 의미
CCI값이 낮으면 현재 주가가 가격의 이평선에 비해 낮다는 것을 의미
▷ CCI가 +100이상이면 과매수 구간, CCI가 -100이하이면 과매도 구간
▷ 상승추세에서는 CCI 값이 평균선이라 할수있는 0선위에서만 움직이는 경우가 많고,
하락추세에서는 CCI의 값이 0선 아래에서만 움직이는 경우가 많음
▷ CCI가 0선위에 놓여있을때 0선은 지지선의 역할,0선 아래에 놓여 있을 때에는 0선은 저항선의 역할을 한다.
▷ CCI가 과매수 구간에서 나올때보다 들어가기 전에 반등하는 것이 강도가 더 세다.
▷ CCI, RSI 복합 활용 매매시 주가이동평균선 20일선이 상승추세시는 RSI를 활용하고 하락추세시는 둘 다 활용
3. 실전
▷ CCI가 과매도 구간에 진입한 이후 -100선을 상향 돌파할 때 매수
CCI가 과매수 구간에 진입한 이후 +100선을 하향 돌파할 때 매도
▷ 다이버전스를 이용해 매매시점을 포착
☞ 상승추세에서는 저점과 고점을 꾸준히 높여야 하는데, 고점을 높이지 못하거나 고점을 돌파했지만, 상승탄력이
약하면 주가는 하락전환 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현상이 약세 다이버전스로 나타난다. 따라서 주가의
고점에서 나타나는 약세 다이버전스는 매도신호라고 볼 수 있다.
☞ 하락추세에서는 고점과 저점을 꾸준히 낮추며 하락해야 하는데 저점을 낮추지 못하거나 저점을 낮추었지만
하락강도가 약하면 주가는 상승 전환 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현상은 강세 다이버전스로 나타난다.
따라서 주가의 저점에서 나타나는 강세 다이버전스는 매수신호라고 볼 수 있다.
▷ CCI, RSI 둘 다 과매도 구간에 들어갔을때는 상승확률이 높고 매수 시점은 RSI근거로 한다.
<출처 날샘>
'주식 및 경제관련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착륙[business hard landing] (0) | 2023.01.08 |
---|---|
RSI[Relative Strength Index] (0) | 2022.12.24 |
산타 랠리[Santa Rally] (0) | 2022.12.24 |
채권 금리[Bond] (0) | 2022.12.21 |
연착륙[Soft landing] (0) | 2022.12.20 |
댓글